정보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조회 및 납부방법 총 정리

선비선비 2021. 8. 17. 12:11
반응형

-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조회 및 납부방법 총 정리 - 

안녕하세요 쀼쀼쟈 입니다.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이용하실때 

하이패스에 잔액이 없는데 있는줄알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으실겁니다, 혹은 현금이 부족해서 

미납이 되는 경우도 있으실거구요, 

이런경우를 대비하여 고속도로 통행요금 미납금을 

조회하는 방법 그리고 간단하게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고속도로 통행료 조회하는 방법

 

먼저 고속도로를 이용하시면서 간단하게

목적지까지 가실곳의 통행료를 조회하는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쉬운방법으로는 카카오네비, 티맵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으로 목적지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요금이 나오는데요,

가장 기본적으로 쉽게 확인하는 방법이며 대부분이 아는 내용이실 겁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도 확인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한국도로공사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https://www.ex.co.kr/

 

한국도로공사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교통 플랫폼 기업

www.ex.co.kr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를 접속해주시면

밑에 주황색 휴게소.통행료 탭에서

통행요금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요금조회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통행요금 조회 바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예시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입력하고 요금조회를 눌렀을때

화면입니다. 그러면 경로 및 총거리가 나오고, 

구분에서 자동차의 종에 따라서 요금이 달라지는걸 확인하실수

있는데요, 차종구분은 위에 사진에서 보듯이 분류가 되있기때문에

타고가실 차량과 비교하셔서 확인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통행요금제도에서 고속도로 통행요금 산정 구조도

패쇄식 / 개방식 그리고 차종구분에 따라서

이렇게 자세하게 나와있으니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엑셀표로도 다운로드 하실수 있기때문에

혹시 인터넷이 안되는 지역으로 가실때에는 이렇게

다운받으셔서 참고하셔서 고속도로를 이용하시면 될것같습니다.


2,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 조회 및 납부방법

 

그러면 고속도로를 이용하면서 미납이 되거나, 

요금을 못내고 지나갔을때 조회해서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큰 틀에서 봤을때 방문해서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과,

온라인을 통해서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직접 방문해서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 고속도로 영업소 방문 및 조회후 납부

- 은행등의 금융기관 창구를 이용하여 납부하기 

- gs25, cu 편의점을 이용하여 납부하기

- 휴게소 종합안내소, 무인수납기를 이용하여 납부하기

이렇게 4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서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에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등의 포털사이트에서 "고속도로 통행료" 라고

검색하셔서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에 들어가주세요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에 들어가셨으면

밑에 우측 하단부에 있는 주황색으로된 

미납통행료를 클릭하여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을 통해서

진행하라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저같은 경우는 sns 인증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여 간편하게 접속 하였습니다.

그리고 안내절차에 따라서 조회하고 납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컴퓨터를 통해서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금 조회 및 납부 하는방법이

불편하시면, 스마트폰에서도 간편하게 조회 및 납부를 할수 있는데요,

 

구글플레이 등에서 "고속도로 통행료" 라로 검색하셔서

아래와 같이 고속도로 통행료 어플을 받아주신다음에

실행해주세요

실행하셔서 

회원가입을 하신다음에 로그인하여 접속해주세요

로그인하시고 들어오시면 이렇게 차량등록하기 화면이

나오는데요, 본인의 차량번호를 입력 하시고 밑에 등록하기를

눌러주세요

등록까지 마치셨다면 차량번호로된 미납금을 조회하고

바로 납부까지 진행하실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통행료 및 통행미납금 조회 그리고

납부방법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들 안전운전하시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